청년정부지원금 자산 기준, 어디까지 해당될까?

청년정부지원금은 대부분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 기준도 함께 적용합니다. 하지만 자산이라고 하면 '집이나 자동차만 해당되는 건가?', '적금은 괜찮은가?' 헷갈리는 분들이 많아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적용되는 청년정부지원금의 자산 기준을 제도별로 비교하고, 무엇이 포함되고, 무엇은 제외되는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청년정부지원금의 자산 기준이란?

정부지원금은 한정된 예산 내에서 꼭 필요한 사람에게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소득과 함께 재산 수준도 함께 심사하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재산이란 단순한 집값만이 아니라, 자동차, 전세보증금, 금융자산 등을 모두 포함한 ‘총 자산’입니다.

2025년 기준, 대표적인 청년지원금들의 자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원 제도 재산 기준 기타
청년월세지원 본인 3,800만 원 이하 / 가구 1억 700만 원 이하 자동차·보증금·금융 포함
청년내일저축계좌 가구 재산 기준 지역별 상이 (대도시 2억 이하) 지역별 기준 적용
청년도약계좌 재산 기준 없음 소득만 심사

제도에 따라 ‘가구 재산’ 또는 ‘본인 재산’ 기준을 적용하며, 가구란 보통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을 의미합니다.

포함되는 자산 항목과 예외 항목

그렇다면 어떤 자산이 포함되고, 어떤 자산은 제외될까요? 정부의 심사 기준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합니다.

  • 부동산: 주택, 상가, 토지, 전세보증금 등 (실거주 중인 전셋집도 포함)
  • 자동차: 기준가액이 일정 금액 이상이면 포함 (예: 500만원 초과)
  • 금융재산: 예금, 적금, 펀드, 주식, 보험해약환급금 등
  • 기타: 고가의 귀금속, 회원권, 사업자 등록 재산 등

다만, 실제로 거주 중인 보증금은 일부 제도에서는 ‘필수 주거비’로 간주되어 전액 포함되지 않기도 하며, 자동차도 생계형 차량(경차 등)은 제외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르고 넘기면 손해입니다

소득이 적다고 안심하셨다면 오산입니다. 매달 적자생활을 하면서도, 부모님 명의 재산이나 적금으로 인해 정부지원금이 탈락되는 사례가 많아요. “나는 가난한데 왜 떨어졌지?” 싶은 그 이유, 바로 ‘자산 기준’ 때문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보면, 자산 기준만 잘 이해해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많습니다. 보증금은 얼마까지 괜찮은지, 자동차는 몇 년형까지 예외인지 등 실제 심사 기준은 꽤 세부적이에요.

지금이라도 한 번쯤, 내 금융자산과 전세보증금, 자동차 가액을 확인해보세요. 자격 기준은 의외로 내가 해당될 수도 있다는 점, 꼭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

청년정부지원금의 자산 기준은 생각보다 넓고, 유연합니다. 전세 사는 청년도, 경차를 소유한 청년도, 일정 수준 이하의 금융자산만 있다면 충분히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난 안 될 거야’라는 생각보다, ‘어디까지 포함되는지 확인해보자’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지금 복지로, 정부24, 지자체 청년센터 등에서 내 기준을 꼭 체크해보세요. 받을 수 있는 권리, 먼저 확인하는 사람이 챙깁니다.

다음 이전